지식산업정보원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contact@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techforum.co.kr

[PDF 주문안내]
- 고객명(소속/기관명)으로 주문하시기 바랍니다. (PDF는 메일로 발송됩니다.)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계산서 발행안내]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contact@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견적서 및 거래명세서 발행안내]
- 이메일(contact@techforum.co.kr) 또는 주문 시 '요구사항'란에 메모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스마트 농·축산업 정책/기술 동향과 미래 유망식품산업 R&D 실태분석

시 중 가
380,000
판 매 가
342000
제조사
지식산업정보원
필수선택
규격
614쪽 (A4)
ISBN
9791158621957
발간일
2021-12-17
수량

농가 인구 감소 및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 기후변화 심화에 다른 리스크 확대 등 국내 농업이 마주한 현실적 도전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스마트 농업이 대두되고 있다. 제4차산업혁명을 주도하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ICT와 로봇과학기술을 농업분야에 융복합한 스마트팜(smart farm)은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최근 도시농업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정책적 육성과 지원에 힘입어 다양한 형태의 도시농업 조성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스마트팜이 적용되는 분야는 무릇 비닐하우스와 같은 시설원예뿐만 아니라, 노지, 축사, 양식장은 물론 농산물을 유통하기 위한 저장소, 유통 분야로 점차 넓혀지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변화는 식품에서 큰 변화를 가져왔다. 최근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5대 유망식품 육성을 통한 식품산업 활력 제고 대책을 발표하였다(농림축산식품부 등, 2019). 공지된 5대 유망식품으로는 맞춤형·특수식품, 기능성식품, 간편식품, 친환경식품, 수출식품 등이 포함되고, 제도 개선 등을 통해 초기시장 형성, 규제 및 지원체계 개선으로 시장 활성화, 농어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 생태계 조성, 환경보전 및 지속가능한 성장, 한류와 연계한 수출 확대 및 수출시장 다변화, 연관 산업분야 집중 육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주요 골자로 한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스마트 농·축산업 및 미래 유망식품산업 개발의 현황과 향후 전망을 분석, 신기술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분석 정보자료를 토대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스마트 농·축산업 정책/기술 동향과 미래 유망식품산업 R&D 실태분석」을 발간하였다. 본서에서는 스마트 농·축산업/미래유망식품 분야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는 노지형·도시형 스마트팜 및 정밀농업·농기계, 푸드테크, 미래유망식품 산업의 기술/시장전망, 생산사례, 산업동향을 수록하였다.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제 Ⅰ편  스마트 농업 동향
제 1장 스마트 농업 활성화 정책 기술 현황
1. 농업의 미래, 디지털 농업 동향과 정책 현황
1) 데이터 기반 디지털농업 현황
(1) 디지털시대, 디지털 뉴딜과 농업
가. 디지털 시대 도래
나. 디지털 뉴딜 추진
다. 디지털 시대의 농업
(2) 디지털 농업 개요
가. 개념
나. 디지털농업의 기대효과
2) 디지털농업 정책 추진 현황
(1) 정책 추진 현황
가. 스마트팜 관련 정책
나. 농업부문 데이터 및 데이터 플랫폼 관련 정책
⒜ 시설원예·축산 빅데이터 플랫폼
⒝ 스마트농업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
⒞ 농생명분야 초고성능 컴퓨팅 기술 개발 및 활용촉진
⒟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
다. 디지털농업 관련 신설 조직
⒜ 농업빅데이터일자리팀
⒝ 빅데이터전략담당관 신설
⒞ 디지털농업 추진단
(2) 민간부문의 디지털농업 현황
가. 유비엔의 팜링크
나. 한국축산데이터의 팜스플랜
(3) 디지털농업 정책의 보완점
(4) 디지털농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
가. 민간중심의 디지털농업 활성화를 위한 농산업기업 참여 유도
나. 기술금융 활성화를 통한 디지털농업 지원
다. 디지털농업 육성을 위한 법·제도·거버넌스 구축
라. 데이터 활용도 제고를 위한 농업데이터 수집 체계 개선
마. 플랫폼을 통한 데이터 기반 혁신확산 체계 구축
바. 농업인의 디지털 역량 강화 및 디지털농업 전문인력 육성
3) 디지털농업 정책 중점 추진과제
(1) 농업기술 데이터 생태계 구축
가. 데이터 수집과 관리
나.AI 서비스 플랫폼 구축
다. 데이터 개방․공유 및 활용
(2) 농업생산기술의 디지털 혁신
가. 자동화·지능화 기반기술 개발
나. 곡물 생산성 향상 디지털 기술
다. 원예작물 수급안정과 품질향상 디지털 기술
라. 가축 정밀사양 디지털 기술
마. 디지털 육종 기반기술 개발
(3) 유통, 소비, 정책을 지원하는 디지털 농업기술
가. 작목선택·유통·소비 의사결정 지원
나. 농촌과 농업정책 지원
2. 스마트 농업 시장과 비즈니스 생태계 분석
1) 스마트 농업 시장 동향
(1) 산업 개요
가. 기술 개요
나. 시장 현황
다. 시장 특성
⒜ 시장 원동력
⒝ 산업 환경 분석-5 Forces 분석
⒞ 가치 사슬(Value-Chain)
⒟ 코로나(COVID-19)의 영향
(2) 시장 동향
가. 글로벌 전체 시장 규모
나. 세부항목별 시장 규모
다. 지역별 시장 규모
라. 우리나라 시장 규모
(3) 기업 동향
가. 경쟁 환경
나. 주요 기업 동향
⒜ Deere & Company
⒝ Trimble
⒞ Topcon
⒟ DeLaval
⒠ Heliospectra
2) 스마트 농업 투자 동향    
(1) 스마트 농업 산업 개요    
가. 정의    
나. 스마트 농업의 밸류체인
다. 스마트 농업의 부상
(2) 스마트 농업 관련 투자 동향
가. 스마트 농업에 집중되는 투자자금
나. 국내 주요 투자자, 친환경 먹거리에 눈독
(3) 글로벌 농화학 기업의 스마트 농업 비즈니스 대응 동향
가. 치열한 M&A 끝에 Big 6에서 Big 4로
나. 디지털 파밍으로 데이터 라이브러리 구축
⒜ 몬산토, 빅데이터 농업 시대를 열다
⒝ 몬산토를 삼킨 바이엘, 디지털 농업 강자를 꿈꾸다
⒞ 신젠타(Syngenta)를 내세운 중국의 디지털 농업 선두를 향한 길
⒟ 존디어(John Deere), 농업 플랫폼 장악을 위한 농기계 기업
다. 진정한 승자 가려낼 ‘그린바이오’
(4) 글로벌 시장에 부는 농업 열풍
가. Tech Giants의 스마트 농업 진출 확대
나. 마이크로소프트, 정밀농업 기술 투자에 집중
다. 구글, 스마트 농업 유망 분야 기술개발에 적극적 
라. 알리바바, 중국의 스마트 농업 혁명을 주도
(5) 스마트 농업의 KSF(Key Success Factors)
가. 밸류체인 단계별 시스템·플랫폼 개발 및 데이터 라이브러리 구축이 선행돼야
나. 기능성·약용 작물 등 유망 작물 발굴 및 육성 역량 확보
다. 스마트 농업의 경쟁력 제고 위한 제반 제도 정비 및 우수인력 양성에 힘쓸 것
라. 어그테크(AgTech)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 및 M&A 비즈니스 기회 모색 
제 2장 노지형/도시형 스마트팜 산업 기술동향
1. 스마트팜 산업 실태와 기술 분석
1) 스마트팜 산업 개요
(1) 스마트팜의 정의 및 분류
가. 스마트팜의 정의
나. 스마트팜의 적용 범위와 분류
(2) 스마트팜과 스마트팜 산업의 특징 및 현황
가. 국내 스마트팜 도입의 현황과 애로사항
나. 국내 스마트팜 산업의 특징 및 현황    
(3) 스마트팜 활성화의 목적 및 근거
2) 스마트팜 시장과 정책 동향
(1) 스마트팜 산업 및 시장 동향
가. 스마트팜 국가별 산업 동향
나. 스마트팜 관련 업계 현황
다. 스마트팜 시장 동향
(2) 스마트팜 정책동향
가. 스마트팜 보급현황
나. 추진방향
다. 해외 스마트팜 정책 동향
라. 국내 스마트팜 정책 동향
(3) 스마트팜 지식재산권 동향
가. 글로벌 스마트팜 특허동향
나. 국내 연도별 출원 현황
3) 스마트팜 확산·보급 사업 현황과 과제
(1) 추진현황1
가. 추진경과
나. 추진현황
⒜ 추진체계
⒝ 추진목표
⒞ 사업예산
⒟ 추진결과
(2) 해외사례
가. 일본
나. 미국
다. 유럽연합(EU)    
라. 네덜란드
마. 중국    
사. 시사점
(3) 문제점 및 개선과제
가. 문제점
⒜ 농업의 구조적 문제 개선을 위한 농업혁신 전략 부족
⒝ 단순한 양적 확산·보급 목표와 성과관리 체계 미흡
⒞ 스마트팜 및 농업분야 ICT 융복합 확산·보급사업의 법률적 추진근거 미비
⒟ 유통·소비단계까지 고려된 생산 현장 중심의 비즈니스모델 부족
⒠ 기술 및 장비의 낮은 기술수준 및 표준화 미비
⒡ 낮은 기술 수준에 따른 에너지 수급 문제
⒢ 기관 간,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역할 분담 및 협업 경험 부족
나. 개선과제
⒜ 입법·정책 측면
⒝ 농업 현장 수요 중심의 추진체계 정비
⒞ 스마트팜 기기·장비 기술 현지화 및 서비스산업의 호환성 제고
⒟ 기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상호간 역할 분담 및 협업 강화
2. 노지형 스마트 팜 현황
1) 노지 스마트농업 기술체계와 경제성 분석
(1) 노지 스마트농업이 진행되어 온 과정
가. 우리나라의 노지 스마트농업 추진사례    
나. 일본의 스마트농업 추진사례
다. 한국과 일본, 스마트농업 추진의 공통점과 차이점
(2) 기술 전달체계와 데이터의 통합성
가. 스마트농업 기술서비스 주체
나. 데이터의 통합성을 보장하기 위한 국가 단위의 접근 전략
(3) 지역단위 스마트농업과 규모의 경제성
가. 스마트농업의 확산을 막는 인자들
나. 지역단위 스마트농업의 도입
2) 국내 노지형 스마트 팜의 현황
(1) 노지형 스마트 팜의 ICT 기술 활용 현황    
(2) 노지 디펜스 기술 현황 및 문제점
(3) 식물 생육에 대한 광선의 파장별 적용
3) 노지형 스마트농업 기술개발 현황
(1) 노지 디지털농업 기술도입과 실용화 동향
가.  노지 디지털 영농 기술 도입 희망
나. 노지 디지털농업 핵심기술 개발 및 현장실용화
⒜ 2020년 주요성과
⒝ 보완할 사항
⒞ 2021년 중점 추진계획 (30.7억원→68.2)
(2) 노지형 스마트 쉐이딩 설계
가. 쉐이딩 네트 소재 선정
나. 노지형 스마트 쉐이딩의 고려사항
다. 노지형 스마트 쉐이딩 자동 제어 구상도
3. 도시형 스마트팜 지원 서비스사례 및 기술개발 동향
1) 스마트팜(도시농업) 지원 서비스 분석
(1) 진단 개요
가. 정보서비스 정의
나. 진단의 초점
(2) 진단요소와 기준
가. 진단 항목과 내용
나. 항목별 세부 진단 기준
(3) 진단 결과
가. 서비스 유형별 진단 결과
나. 자치단체 유형별 진단 결과
다. 자치단체 특성별 수준
(4) 우수서비스 사례
가. 국가 정책 환경
나. 자체진단 결과
⒜ 서비스 진단 결과
⒝ 우수서비스 선정 사유
다. 정보화 서비스 사례 소개
⒜ 경기도 화성시 포도 스마트팜 통합관제 시스템
⒝ 경북 영천시 농업기상 정보 시스템
⒞ 서비스 구축 예시
2) 도시농업 기술개발 현황
(1) 도시농업을 위한 소형온실 설계요인 분석 및 구조모델 개발
가. 재료 및 방법
나. 결과 및 고찰
⒜ 소형온실 설계요인 분석
⒝ 소형온실 구조모델
다. 결 론
(2) 도시농업형 소농기구 이용실태와 시제품 개발
가. 연구방법
나. 결과 및 고찰
⒜ 텃밭에서 주로 사용하는 농기구의 유형 분석
⒝ 텃밭에서 농기구의 사용 시 불편사항 분석
⒞ 도시농업용 농기구의 디자인 개발
⒟ 도시농업형 소농기구의 시제품 제작
⒠ 도시농업형 소농기구의 개선에 따른 만족도 분석
다. 결론
제 3장 정밀농업/농기계 산업 기술 동향
1. 정밀농업 산업동향과 기술 분석
1) 정밀농업 기술 분석
(1) 정밀농업 동향
(2) 배경 기술 분석
가. 정밀농업의 정의 및 필요성
나. 정밀농업의 등장배경
다. ICBM과 인공지능(AI)으로 정밀농업에 날개를 달다
라. 한국 농업의 해결책, 정밀농업의 체계적인 도입
마. 정밀농업으로 인해 기대되는 환경이익
(3) 심층 기술 분석
가. 농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밀농업 체계
나. 정밀농업의 주요 단계
⒜ 1단계, 관찰(Monitoring)
⒝ 2단계, 처방(Prescription)
⒞ 3단계, 농작업(Agricultural operation)
⒟ 4단계, 결과 분석(Result analysis)
다. 정밀농업의 단계별 주요 기술
라. 국내 정밀농업 관련 기술 수준과 방향
마. 국내 정밀농업 관련 시범사업
바. 세계 정밀농업 관련 특허동향
2) 정밀농업 산업과 기업 동향
(1) 산업 동향 분석
가. 한국 농업의 패러다임 변화
나. 세계 정밀농업의 시장 동향
다. 국내 정밀농업의 시장 동향
(2) 주요 기업 분석
가. 정밀농업 관련 글로벌 기업 동향
나. 정밀농업 관련 국내 기업 동향
3) 정밀농업 단계별 주요 기술 및 기자재 현황
(1) 단계별 주요 기술 및 기자재
가. 모니터링(Monitoring)
나. 처방(Prescription)
다. 농작업(Agricultural operation)
라. 결과 분석(Result analysis)
(2) 단계별 필요인력
2. 국내외 정밀농업 기술 및 기자재 분석
1) 해외 분석
(1) 미국
가. USDA
나. JohnDeere
다. CASE IH
라. AGCO
마. New Holland    
바. CLIMATE
사. IBM
아. Precision Planting
자. TRIMBLE
(2) 일본
가. KUBOTA
나. YANMAR
다. Skymatix
라. Hitachi Zosen
마. Hokkaido University    
(3) 유럽
가. CLAAS
나. AGXTEND
다. AIRBUS
라. Sencrop
2) 국내 정밀농업 기술 및 기자재 분석
(1) 농촌진흥청
(2) 주요 기업
가. LS엠트론
나. 대동공업
다. 동양물산
라. GINT
(3) 연구소
3) 국내 정밀농업 주요 기술 및 기자재 발전 방안
(1) 정밀농업용 시스템 기술 고도화
가. 정밀농업용 센서 개발
나. 드론 국산화 및 기술 고도화
다. 지능형 농기계 개발
라. 농업용 위성
(2) 데이터 기반 농업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
가. 수확량 모니터링
나. 처방 지도 생성
다. 데이터 공유 플랫폼
(3) 정밀농업 인프라 및 지원 방안 구축
가. 정밀농업 전문 인력 양성
나. 스타트업 기업 육성 및 주요 농기계 제조사와의 협업
다. 정밀농업 인프라 확산 및 구축
(4) 한국형 종합 정밀농업 솔루션 개발
3. 농기계산업 동향 분석
1) 농기계산업 주요 동향
(1) 농기계산업의 개요
가. 농기계의 정의
나. 농기계의 범위
(2) 농기계산업의 특성과 차별성
가. 농기계산업의 특성
나. 농기계와 건설기계와의 차별성
2) 해외 농기계산업의 환경변화 및 시장 현황
(1) 해외 농기계산업 환경변화
(2) 주요 국가별 산업 육성정책
가. 미국, 캐나다
나. 일본
다. 중국
(3) 세계 농기계산업의 현황과 전망    
가. 시장 동향
나. 지역별
다. 품목별
⒜ 농용트랙터(Agricultural Tractor)
⒝ 수확기계(콤바인-Harvester combine)
⒞ 부속작업기 및 부품(Attached implements & parts)
라. 기업현황
(4) 해외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농기계산업의 환경변화 및 시장 현황
(1) 주요 환경 변화
가. 개관
나. 정부 및 지역의 정책·환경적 측면
다. 정부의 산업육성 정책    
(2) 국내 농기계산업의 현황
가. 시장규모
나. 기업 현황
다. 해외시장 진출현황
(3) 국내 기술개발 동향
가. 친환경 동력원
나. 고성능 농기계
다. 신뢰성평가 및 인간 편의기술
라. 지능형 복합 농작업기계
마. 융복합 농기계 시스템
바. 기술 경쟁력 수준
(4) 국내 농기계산업 SWOT 분석 및 발전 방향
가. 국내 농기계산업 SWOT 분석
나. 국내 농기계산업 발전 방향
4) 스마트농기계 관련 특허동향 및 표준 동향
(1) 특허동향
(2) 관련 표준 및 인증동향
가. 농기계 표준화
나. 단체표준
다. 국가표준
라. 국제표준
마. 중국 인증 (CCC)
바. 유럽인증 (CE)
사. 미국인증
아. 러시아인증
자. 국제 공인인증 시험

제 Ⅱ편  축산업/미래유망식품 산업
제 1장 축산업 동물복지 정책 기술 분석
1. 축산업 정책 기술 분야
1) 축산업 및 축산기술 개요
(1) 축산업 및 축산기술 정의
가. 축산업 정의 및 분류
나. 축산기술 정의 및 분류
다. 가축 정의 및 범위
(2) 축산자원개발부 연구 분야
가. 가축개량 연구
나. 낙농 연구
다. 양돈 연구
라. 초지·조사료 연구
(3) 축산업의 산업보건 접근 방향
가. 축산업 종사자에게 악영향을 미치는 유해가스의 종류
나. 천식 등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되는 유기분진
다. 축산업 종사자의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
(4) 축산기술 국내외 정책동향
가. 국내
나. 해외
⒜ 미국
⒝ 유럽
⒞ 일본
2) 환경친화적 축산환경 조성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 환경친화축산농장제도와 깨끗한 축산농장 제도의 현황
가. 환경친화축산농장제도 동향
⒜ 도입 배경
⒝ 환경친화축산농장의 정의와 지정기준
⒞ 환경친화축산농장 현황
나. 깨끗한 축산농장제도
⒜ 도입 배경
⒝ 깨끗한 축산농장의 정의와 지정기준
⒞ 깨끗한 축산농장 현황
다. 환경친화축산농장제도와 깨끗한 축산농장제도의 비교
(2) 환경친화축산농장제도와 깨끗한 축산농장 제도의 문제점
가. 법체계 및 관리부처의 혼선
나. 환경친화축산농장 지정기준의 문제
다. 인증의 어려움
(3) 환경친화축산농장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가. 법체계 정비 방안
나. 사육관리 관련 지정기준의 현실화
다. 자원순환 관련 지정기준의 현실화
라. 인증표시제도를 통한 인센티브 부여
마. ‘깨끗한 축산농장’의 대상 범위 확대 검토 필요
3) 축산기술 분야 특허 및 기술수준 분석
(1) 축산기술 분야 특허 분석
가. 기술추세 분석
나. 특허기술 수준 분석
(2) 국가별 기술수준평가 결과 분석
4) 국가 가축개량 체계와 전염병 현황
(1) 국가 가축 개량 체계
(2) 가축전염병 현황
가. 개요
나. 국내 가축전염병 관련 현황
⒜ 구제역
⒝ 아프리카 돼지열병
2. 가축 축사 입지실태와 개선방안 동향
1) 가축 축사 입지 실태
(1) 축사현황과 문제점
가. 국민소득 증가와 축산물 소비
나. 가축사육 현황
다. 축산농가 전통입지와 사육 형태의 문제점
(2) 축사 입지특성 사례 분석
(3) 정책제언
2)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반 가축 헬스케어 동향
(1) 가축 헬스케어 등장 배경
(2) 가축 헬스케어 필요성
(3) 국내 가축헬스케어 산업기술동향
가. 한국축산데이터(팜스플랜)
나. ㈜유라이크코리아
(4) 해외 가축헬스케어 산업기술동향
(5) 농업분야 시사점
3) 축산시설 입지 및 관리의 개선방안
(1) 축산시설 입지의 계획적 공급
가. 계획입지 공급의 중요성
⒜ 유형별 산업단지 조성 현황
⒝ 산업단지 입주기업 현황
⒞ 산업단지 고용현황
⒟ 산업단지 생산현황
⒠ 산업단지 수출현황
나. 축산부문에서의 계획입지 공급
(2) 스마트 축산단지 조성
가. 추진 배경 및 필요성
나. 축산단지 관련 정책 및 계획 검토
⒜ 관련 정책
⒝ 관련 계획
⒞ 관련 사업
(3) 국내외 사례 검토
가. 국내 사례
나. 해외 사례
⒜ 일본 사이보쿠 농장
⒝ 일본 모쿠모쿠 농장
(4) 스마트 축산단지 조성 전략
가. 고려사항
나. 조성 전략
⒜ 스마트 기술을 적용한 친환경 축산단지 조성
⒝ 농촌공간계획을 고려한 6차 산업형 축산클러스터 조성
⒞ 농촌공간계획과 생산형 융합복지모델의 연계
3. 동물복지 국내외 정책 분석
1) 동물복지 국내·외 현황 및 전망
(1) 해외 축산선진국의 동물복지
가. EU
나. 영국    
다. 독일    
라. 미국    
마. 일본    
(2) 국내 동물복지
(3) 동물복지 인증(육계 기준으로)
(4) 경제성(육계 기준으로)
(5) 동물복지 제품의 장점(하림 기준으로)
2) 2020~2024년 동물복지 정책 분석
(1) 동물복지 종합계획 방향
가. 정책 여건
나. 문제점
(2) 과제별 추진 방안
가. 동물보호ᆞ복지 인식 개선
나. 반려동물 영업 관리 강화
다. 유기·피학대 동물 보호 수준 제고
라. 농장동물 복지 개선
마. 동물실험 윤리성 강화
바. 동물보호ᆞ복지 거버넌스 확립
3) 동물복지 위한 법제 동향과 개선
(1) 법제 동향
가. 각국의 법제
⒜ EU
⒝ 미국
⒞ 영국
나. 우리나라
⒜ 민법의 측면
⒝ 동물보호법
(2) 법제 개선
가. 동물보호법의 개정
나. 민법상 물건에 관한 규정의 개정
다. 반려동물신탁제도의 활성화
제 2장 푸드테크 식품산업 정책 현황
1. 미래유망식품 산업 분석
1) 식품산업 현황과 R&D 미래 대응전략
(1) 식품산업 현황
가. 식품산업의 대내외 여건
나. 식품산업과 국내·외 시장
다. 식품관련 정부정책
(2) R&D 미래 대응전략
가. 식품분야 정부 R&D 현황
나. 식품분야 민간 R&D 현황
다. 식품 R&D의 환경과 역할 변화
라. 식품 R&D 효율화의 당면과제
마. 미래를 대비한 식품 R&D 추진 방향
2) 식품산업 정책 방향과 추진 현황
(1) 2021년 추진 여건 및 정책 방향
가. 추진 여건
나. 정책 추진방향
(2) 2021년 과제별 추진계획
가. 미래유망분야 선제적 육성
⒜ 미래대응 유망산업 육성
⒝ 신기술 개발 및 신사업화 지원
⒞ 식재료 산업의 효율적 지원체계 마련    
⒟ 전후방 연관산업의 성장기반 마련
나. 식품산업의 혁신 생태계 조성
⒜ 식품외식 분야 혁신인력 양성
⒝ 성과 중심의 R&D 지원체계 구축
⒞ 농식품 수출 및 해외진출 확대
⒟ 국가식품클러스터 활성화
⒠ 수요자 맞춤형 정보전달체계
다. 식품·외식산업의 균형잡힌 성장 지원
⒜ 중소식품기업의 성장 사다리 지원
⒝ 외식업 협업화 지원 및 경영안정 지원
⒞ 식품외식업체 협력·발전 모델 발굴 및 확산
⒟ 지역별 고르게 발전하는 식품산업 육성
라.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 강화
⒜ 국산농산물 사용 확대 기반 마련
⒝ 농업인 가공 및 판매 활성화 지원
⒞ 전통식품 및 전통주 산업의 성장산업화
⒟ 한식·음식관광을 통한 국산 농식품 소비기반 확대
마. 농식품의 소비자 신뢰 제고
⒜ 소비자의 정책참여 확대
⒝ 식생활 교육 및 식품지원을 통한 농식품 소비기반 구축
⒞ 사전예방적 안전관리 강화
⒟ 해외 소비자의 신뢰 제고
바. 코로나19 대응 지원
⒜ 외식업 피해 지원
⒝ 농식품 수출 지원
2. 푸드테크 산업 동향과 전망
1) 식품선택 여건 변화와 푸드테크 의의
(1) 식품선택 여건 변화와 푸드테크 대두
가. 식품선택 여건 변화
나. 푸드테크의 대두
다. 푸드테크의 동학(Dynamics) 및 여건 분석
(2) 푸드테크 관련 미래 식품기술
(3) 푸드테크 시장 전망과 정책지원 필요성
가. 대체식품 시장 전망
나. 푸드테크 적용분야별 시장 전망과 정책지원 필요성
2) 푸드테크 산업동향과 사례조사
(1) 푸드테크 산업 개요
가. 푸드테크 산업의 개념
나. 푸드테크 산업의 특성
⒜ 생산의 부가가치화
⒝ 유통·가공의 자동화 및 위생·안전성 제고
⒞ 외식·소비시장의 편리성 및 효율성
다. 푸드테크 산업의 범위
(2) 푸드테크 산업의 기술동향
가. 애그테크(Agtech) : 스마트 농업 생산
⒜ 팜테크(스마트팜)
⒝ 농업용 드론
⒞ 스마트 농기계    
나. 스마트 농식품 가공·유통 시스템
⒜ 스마트 농식품 가공·유통시스템 기술
⒝ 협동로봇
다. 스마트 농식품 개발
⒜ 대체식품
⒝ 식용곤충
라. ICT와 외식·소비시장의 융복합
⒜ 푸드로봇
⒝ 스마트 키친
⒞ 3D 푸드 프린팅
⒟ O2O 서비스
(3) 푸드테크 산업의 시장동향
(4) 푸드테크 산업의 정책동향
가. 4차산업 정책동향
나. 스마트팜 정책동향
다. 식품산업 정책동향
(5) 푸드테크 산업의 키워드 분석
(6) 푸드테크 스타트업 국내·외 사례조사
가. 국내사례
⒜ 디보션푸드
⒝ ㈜육월
⒞ 요리로(Yolilo)    
⒟ 우아한 형제들
나. 국외사례
⒜ 비욘드미트(Beyond Meat)
⒝ 옌섹트(Ÿnsect)
⒞ 3D 시스템즈(3D Systems)
⒟ 유파머(YouFarmer)
3. 대체 단백질 식품 트렌드와 시사점
1) 대체 단백질 기술 동향
(1) 배경
(2) 기술의 정의 및 범위
(3) 기술동향
가. 배양육
나. 식물성 고기
다. 식용곤충
2) 대체 단백질 산업과 정책 동향
(1) 산업 동향
가. 배양육
나. 식물성 고기
다. 식용 곤충
(2) 정책동향
가. 해외 정책동향
나. 국내 정책동향
(3) R&D 투자동향
3) 대체 단백질 식품 기업 사례로 보는 트렌드
(1) 햄버거가 쏘아올린 공, 이제 닭 없는 달걀, 바다 없는 참치
가. 육류
나. 유제품
다. 해산물
(2) 접시 위에 오르는 동물 세포 배양육
(3) 촘촘해지는 B2B 생태계
(4) 중국, 대체육 시장에 눈뜨다
제 3장 미래유망식품 산업 정책 동향
1. 기능성식품 산업과 기술 현황
1) 기능성식품 산업 동향
(1) 기능성식품의 정의와 범위
가. 기능성식품의 정의
나. 해외 주요국 건강기능식품 정의    
다. 국내 건강기능식품 정의
(2) 기능성식품 주요 기능과 성분
가. 기능성 구분 및 분류 현황
⒜ 식품의 기능
⒝ 기능성 원료 구분
나. 주요 기능성 원료와 인정 현황
(3) 국내 기능성식품 R&D 동향
가. R&D 추진 체계
나. R&D 추진 현황
2) 국내외 기능성 식품산업 동향
(1) 세계 기능성 식품산업
가. 시장동향
나. 정책동향
다. 기술동향
라. 특허동향
(2) 국내 기능성 식품산업
가. 시장동향
나. 정책동향
다. 기술동향
라. 특허동향
3) 기능성식품 산업 활성화에 따른 경제적 파급 영향 분석
(1) 기능성식품 시장 전망
(2) 국가경제 파급 영향 분석
가. 분석 방법
나. 분석 결과
(3) 농업부문 영향 분석
가. 분석 방법
나. 분석 결과
(4) 기능성식품 산업 고용 효과 분석
가. 지역 고용 영향 사례 분석: 홍삼·인삼 주산지
나. 기능성식품 산업 고용 효과 전망
2. 가정간편식(HMR) 산업과 정책 현황
1) 가정간편식 시장 및 정책 동향
(1) 가정간편식(HMR) 정의와 제품 분류
가. 가정간편식(HMR) 정의
나. 가정간편식(HMR) 제품 분류
(2) 가정간편식 시장 및 소비 동향
가. 가정간편식 시장규모
나. 가정간편식 소비 동향
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식품소비 변화
(3) 원료 수급 정책 및 표시제도 동향
가. 식품가공원료 매입자금 지원
나. 국내산 농축산물 구매이행 보증보험 지원
다. 가정간편식 표시제도 동향
2) 국내외 가정간편식(HMR) 산업 분석
(1) 국내외 산업 분석    
가. 미국 HMR 시장의 성장    
나. 일본 HMR 시장의 성장    
다. 중국 HMR 시장의 성장
라. 영국 HMR 시장의 성장    
마. 한국 HMR 시장의 성장
(2) 국내외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가정간편식(HMR) 기술개발 및 특허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가. 포장 및 가공·저장 기술개발 지원
나. 안정적인 원료확보 지원
다. 위생 및 안전성 관리 강화
라. 공정거래 확립 관련 정책 강화
마. 국내 HMR 시장 미래 진화 방향
(2) 생태계 기술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기관 기술개발 동향
(4) 특허 동향
가. 특허동향 분석
⒜ 연도별 출원동향
⒝ 국가별 출원현황
⒞ 기술 집중도 분석
나. 주요 출원인 분석
⒜ 해외 주요출원인 주요 특허 분석
⒝ 국내 주요출원인 주요 특허 분석
다. 기술진입장벽 분석
⒜ 기술 집중력 분석
⒝ 특허소송 현황 분석
(5) 요소기술 도출
가. 특허 기반 토픽 도출
나. LDA 클러스터링 기반 요소기술 도출
다.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라. 최종 요소기술 도출
3. 고령친화식품 산업과 정책 현황    
1) 고령친화산업 현황과 해외사례
(1) 고령친화 산업 개요
가. 고령화를 산업의 기회요인으로 활용
나. 고령친화산업 육성정책 동향
다. 고령친화산업의 현황
(2) 고령친화산업의 해외사례
2) 고령친화식품의 정책 및 산업기술 동향    
(1) 고령친화식품 정책현황    
가. 일본    
나. 독일    
다. 미국
라. 영국    
마. 한국    
(2) 고령친화식품 개발 기술
가. 동결함침법 (Freeze-thaw enzyme impregnation)
나. 고압처리기술(High-pressure processing, HPP)    
다. 과열 증기 가공기술(Superheated steam processing)
라. 고전압 펄스 (Pulsed electric fields; PEF)
마. 압출 및 로스팅 (Extrution & roasting)    
바. 발효 (Fermentation)
사. 나노기술 (Nano technology)
아. 3D 푸드 프린팅 기술 (3D food printing technology)
3) 국내 고령친화식품 주요 제조업체 현황
(1) 고령친화식품 전문기업    
(2) 건강기능식품 전문기업
(3) 특수의료용도 등 식품 전문기업
4) 해외 고령친화산업 동향
(1) 산업 현황
(2) 해외 고령친화산업 동향
(3) 국가별 고령친화식품 관리 현황
(4) 고령친화시장의 글로벌 현황
가. 고령친화시장
나. 일본 고령친화시장
다. 중국 고령친화시장
라. 호주 고령친화시장
(5) 일반식품의 고령친화식품화 강세
(6)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고령친화식품

도표(그림) 목차


 

※ 도서상품(보고서 및 세미나북)은 비과세상품(면세대상)으로 공급가액만 결제됩니다.
※ 현금 결제시 세금계산서가 아닌 계산서가 발행됩니다.



배송정보
- 배송지역: 전국
- 배송비: 무료입니다.(도서,산간,오지 일부지역 등은 배송비가 추가될 수있습니다.)
- 본 상품의 평균 배송일은 2일입니다.(입금 확인 후)
(평균배송일이란? 동일 상품을 주문한 고객이 실제 인수한 배송일의 평균을 말합니다.)
* PDF파일 주문 시 자료는 등록하신 이메일로 발송해 드립니다.
  +고객명(소속/기관명)으로 주문하시기 바랍니다.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수기 결제 서비스
온라인 신용카드(법인, 연구비 카드 등) 결제가 안 되실 경우 고객센터(070-7169-5396)로 전화 주시면 '수기 결제 서비스'를 안내 해드립니다.  수기 결제 서비스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수기 결제 서비스' 요청

② ‘최소한의 신용카드정보’를 전달 받아 결제 진행

③ 결제완료 
 


ARS 결제 서비스
온라인 신용카드(법인, 연구비 카드 등) 결제가 안 되실 경우 고객센터(070-7169-5396)로 전화 주시면 'ARS 결제 서비스'를 안내 해드립니다. ARS 결제 서비스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ARS 결제 서비스' 요청

② 고객님 휴대폰으로 'ARS 결제' 문자 발송

③ ARS 전화 연결

④ 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MM/YY), 법인카드는 사업자번호 / 개인카드(법인기명카드)는 생년월일, 비밀번호(앞두자리) 입력

⑤ 결제완료

 

카드결제 오류 해결방법
대부분 카드결제 오류 발생시 KCP기술지원팀(1544-8661)으로 연락 주시면 '결제오류'에 대한 보다 신속하고 상세한 안내(원격지원)를 받으실 수있습니다.



계산서
-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 계산서가 필요하신 분은 이메일(contact@techforum.co.kr) 또는 주문시 '요구사항'란에 메모를 남겨주세요.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contact@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요청하신 계산서는 등록하신 메일로 발송됩니다.


거래명세서
- 거래명세서가 필요하신 분은 이메일(contact@techforum.co.kr) 또는 주문시 '요구사항'란에 메모를 남겨주세요.
- 요청하신 거래명세서는 등록하신 메일로 발송됩니다.


견적서
- 견적서가 필요하신 분은 도서 목록을 이메일(contact@techforum.co.kr) 또는 주문시 '요구사항'란에 메모를 남겨주세요.
- 요청하신 견적서는 등록하신 메일로 발송됩니다.


교환/반품
- 주문하신 도서가 품절 및 절판등의 사유로 발송할 수 없을시 에는 대금을 환불해 드립니다.
- 도서의 파손이나 불량으로 인한 교환을 요청하실 경우에는 재발송하여 드립니다. (택배비 무료)
- 고객의 부주의로 인한 도서의 파손은 환불처리가 불가하오니 양해바랍니다.
* PDF파일 주문 건은 '디지털상품' 특성 상 전송 후 환불처리가 불가하오니 신중히 검토 후 주문 부탁 드립니다.

상품 리뷰
No 제목 작성자 날짜 평점
상품 문의
No 제목 작성자 날짜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