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게시글 검색
[과학기술정책연구원] K-뷰티 산업의 혁신원천 분석과 지속가능성 진단
테크포럼
2021-03-25 10:20:31

화장품 산업은 과학기술 기반으로 발전하는 특성이 강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화장품 산업의 체계적인 혁신 연구는 부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급성장 하고 있는 한국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혁신시스템, 혁신활동 및 혁신원천에 대해 규명하며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진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1장에서 연구 질문과 혁신원천에 대해 살펴보고 제2장에서 K-뷰티의 산업 혁신시스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제3장에서 특허 분석 및 심층인터뷰를 통해 혁신원천을 도출한 후 제4장에서 K-뷰티 산업의 지속가능성 진단과 정책제언을 제시한다.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K-뷰티의 혁신원천을 다원화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제언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혁신원천 생산기제의 다원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분석에 따르면 K-뷰티는 현재의 최적화된 시스템을 더 이상 담보할 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술력 기반 혁신기업 육성을 위해 정부 R&D 투자를 증가하고 공공분야와 적극적인 기술연계를 통해 OEM/ODM 기업으로 일원화된 시스템을 다원화해야한다. 또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원료 및 기초소재 연구의 효과적 활성화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혁신원천의 전환과 연계를 촉진하는 혁신네트워크 형성과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K-뷰티 산업의 혁신시스템이 발전하고 혁신원천이 산업 저변에서 다양하게 생성되려면 연계성 높은 혁신네트워크 형성 및 확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산업 내 다양한 의견을 조율하고 소통할 수 있는 협의체 역할의 구성 및 활동을 장려하며 이를 위해 협의체 지원도 고려할 수 있다. 혁신기업의 성장 및 성공적인 출구전략을 위해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자금과 대기업에서 적극적으로 스타트업의 육성과 M&A를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강건한 혁신시스템을 위한 제도 내실화와 산업 목표에 맞는 인력양성 방안이 수립되어야 한다. 전 세계 화장품 트렌드는 기능성과 맞춤화로 진행되고 있고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맞춤형 화장품 정책을 준비하여 시행 중이나 이에 대해 산업계에 충분한 수요가 있을지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국내 K-뷰티 전략은 세계 3대 화장품 수출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기능성, 맞춤형, 고급화를 추구하고 있으나 인력양성 방안은 서비스 제공단계의 고용창출 방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력양성을 서비스 제공단계 보다는 유전공학, 독성학, 경영학 등 다양한 분야의 인재들이 융합연구를 통해 혁신원천을 창발할 수 있도록 고급인력의 양성방안이 수립되어야 한다.

 

 

[원문보기]

SNS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