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게시글 검색
[산업연구원]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전략
테크포럼
2022-01-27 12:13:50

디지털 전환은 디지털 기술의 경향성과 활용성에 따라 기존 산업의 가치사슬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해당 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에 산업 속성 측면의 영향요인과 함께 가치사슬상 위치에 따른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디지털 전환에 따른 제조업자-중개업자(유통) 간 가치사슬의 변화는 최종 소비자와의 접촉 공간 침투가 어려운 제조업 B2B의 존립 여지 및 공간을 축소시킬 우려가 있다. 중개업자(유통)-서비스의 공급자 간 가치사슬변화는 단순 중개 기능을 수행하는 유통업의 존립 여지와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다. 서비스 공급자의 역할 및 위상 변화에 따른 플랫폼 경제의 비중 증대는 네트워크효과를 중심으로 중소기업들이 누릴 수 있는 다양한 잠재적 편익을 내포하고 있는 반면, 새로운 형태의 수직적 유통 질서 출현 및 시장 지배 이슈를 내포한다.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실태를 보면 디지털 전환 수준과 준비 정도가 전반적으로 낮으며, 디지털 전환의 도입 초점은 조직관리 효율화, 디지털 전환에 대한 기회요인은 업무 프로세스 효율화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중소기업은 전반적으로 단기 효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투자자금 부족, 기업 특성 맞춤형 디지털 전환 시스템 구축의 어려움, 사후 유지보수 및 업그레이드 부담 등이 주된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은 영위업종과 기업이 직면하는 수요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유형화가 가능하며, 이는 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전략과 정부의 지원정책에서 유형별 차이를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기대편익의 불확실성에 대한 중소기업들의 우려를 반영하여 중소기업이 디지털 전환을 통해 향유할 수 있는 편익에 대한 비전을 갖고 이에 기반하여 전략적 투자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책적 뒷받침이 중요하다. 디지털 전환의 기대편익과 투자 유인 간에는 상관관계가 높으며, 기업들이 기대편익을 높게 평가할수록 투자 유인도 증대할 수 있다. 디지털 전환이 국가적 정책 어젠다이며 새로운 산업 생태계 고도화전략의 일환이라고 한다면, 그 비전을 기업들에게 일정 수준에서 제시하는 것은 정책 수용성과 추진 동력 차원에서 간과되어서는 안될 중요한 요소라 할 것이다.  

 

 

 

[원문보기]

SNS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