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산업정보원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contact@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techforum.co.kr

[PDF 주문안내]
- 고객명(소속/기관명)으로 주문하시기 바랍니다. (PDF는 메일로 발송됩니다.)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계산서 발행안내]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contact@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견적서 및 거래명세서 발행안내]
- 이메일(contact@techforum.co.kr) 또는 주문 시 '요구사항'란에 메모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품절도서] 스마트헬스산업 유망 기술별 동향분석-모바일헬스/의료정보관리/AIㆍ빅데이터- [PDF판매]

시 중 가
350,000
판 매 가
315000
제조사
지식산업정보원
필수선택
규격
648쪽 (A4)
ISBN
979-11-5862-055-4 (93500)
발간일
2017-07-12
수량

4차 산업혁명과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해 각 분야의 정보와 기술이 연계되면서 산업 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기술과 산업의 유기적 융합이 일어나고 있다.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높은 성장이 예상되는 스마트 헬스케어산업은 세계적인 고령화시대에 따른 복지예산의 절감과 예방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요즘 상황에서 의료비 절감은 물론 삶의 질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소비자와 공급자가 확대되고 각국 정책지원에 힘입어 모바일 헬스케어, 원격진료 등 스마트 헬스케어산업의 성장속도가 연평균 최대 41%씩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보험연구원은 특히 모바일 헬스 분야가 2014년 69억 달러에서 오는 2020년 531억 달러까지 시장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밖에 원격의료는 65억달러, 전자건강기록은 3억 달러의 시장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었다. 기존 헬스케어산업이 원격의료나 소형화된 휴대용 의료기기를 활용하는 정도에 그쳤다면 AI와 빅데이터, IoT 기술의 발달로 환자 개인의 유전체 및 생활습관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분석 할 수 있게 돼 개인별 최적화된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해졌다. 여기에 AI의 빅데이터 분석 기술이 접목되면서 환자의 현재 상태뿐만 아니라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질병까지도 일정수준 예측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저성장 시기 국가 신성장 동력으로서 스마트 헬스케어산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스마트헬스산업 유망 기술별 동향분석-모바일헬스/의료정보관리/AI・빅데이터」를 발간하였다. 본서 1편에서는 최 각광받고 있는 IoT기반 헬스케어산업의 주요기술 동향과 각국의 ICT융합 의료산업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2편에서는 스마트헬스 서비스의 분야별 주요동향을 수록하였다.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제 Ⅰ편 IoT 기반 헬스케어와 바이오헬스 동향분석
제 1장 스마트 헬스케어산업 주요동향
1. 스마트헬스케어 개요
1) 스마트 헬스케어산업의 정의 및 범위
2) 스마트헬스케어의 부상
(1) 부상 배경
가. 헬스케어 패러다임 변화
나. 수요 측면
다. 공급 측면
(2) 파급효과
2. 스마트 헬스케어산업 생태계 현황
1) 국내 스마트헬스케어산업 주요 이슈 및 문제점
(1) 고령화 추세와 급증하는 의료비 부담
(2) 미흡한 수요확대 정책
가. R&D 투자 등 기술 공급 중심 정책에 집중하지만 수요 확대 정책은 여전히 미흡
나. 스마트 헬스케어산업의 ‘가장 중요한 수요 확대 기반’인 법·제도 환경 매우 미흡
2) 국내 스마트 헬스케어산업 생태계 현황
(1) 기업 현황
(2) 기업분포 및 매출현황
(3) 기술 및 제품 경쟁력
3. 국내외 스마트헬스케어 정책현황
1) 미국
2) 유럽
3) 일본
4) 중국
5) 싱가포르
6) 한국
(1) 관련 정책
가. 바이오 분야 산업엔진 프로젝트(2015) 추진
나. 정밀의료 기술개발 계획 추진
(2) 정책적 대응방향
4. 국내외 스마트헬스케어 시장현황과 전망
1) 글로벌 시장현황 및 전망 
2) 국가별 시장동향 
(1) 한국
(2) 일본
가. 일본 의료·헬스 케어 산업의 성장 배경
나. 일본 의료·헬스 케어 산업 현황과 전망
(3) 중국
가. 중국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성장
나. 중국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성장 배경
다. 주요 기업 소개
A) Ping An Good Doctor
B) Guahao Technology Co
(4) 아세안
가. 아세안 헬스케어 시장의 현황
나. 아세안 헬스케어 시장 트렌드
다. 한국 헬스케어 기업 아세안 진출 현황
라. 아세안 헬스케어 시장에 맞춘 진출전략 수립 필요
(5) 인도
가. 병원 및 관련 인프라 투자 기회
나. 기술 주도형 헬스케어 서비스 시장 투자 기회
다. 의료 기기 및 장비 시장 투자 기회
라. 의료 진단 및 건강 보험 시장 투자 기회
(6) 독일
가. 독일의 의료기술 분야 현황
나. 독일의 헬스케어 산업 동향
다. 독일의 헬스케어 주요 수출품목
라. 독일의 의료기술 관련 산업 성장 요인
(7) 아르헨티나
가. 국가 e-Health Plan 전략 개발
나. e-Health 시장규모
라. 이동식 원격의료 스테이션 개발 프로젝트도 진행 중
마. 응급의학서비스분야도 원격의료 도입 위한 시범사업 진행 중
(8) 미국
가.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 동향
나. BT, IT 융합 확대, 예방과 관리 중심으로 전환된 의료 패러다임
다. 북미 헬스케어 트렌드 및 대표 선도업체
5. 국내외 헬스케어 산업의 창업동향
1) 해외 헬스케어 분야 창업동향
(1) 미국
가. 창업 정책 동향
나. 창업 시장 동향
다. 헬스케어 분야 새로운 창업 트렌드
(2) 이스라엘
가. 창업 정책 동향
나. 창업 시장 동향
2) 국내 헬스케어 분야 창업 동향
(1) 창업 정책 동향
(2) 창업 시장 동향 
(3) 헬스케어 분야 새로운 창업 트렌드
3) ICT 융합 헬스케어 창업동향
(1) 디지털병원 분야
(2) 질환관리 분야
(3) 웰니스 분야
제 2장 IoT 기반 스마트헬스케어 주요기술 동향
1. 스마트헬스케어 주요기술 이슈
1) 웨어러블과 다중 분석으로 진화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센서 기술
2) 전통적 의료 플랫폼과 스마트 플랫폼 간의 주도권 경쟁 본격화
3) IoT, 빅데이터, SNS로 진화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2. 사물기반 인터넷(IoT) 기반 헬스케어 기술동향 및 적용사례
1) 헬스케어 사물인터넷 범위
2) 국내외 헬스케어 사물인터넷 기술동향
(1) 국내 기술동향 
가. 유린케어(UrinCare), 아이티헬스
나. 피부진단 솔루션 매직미러, LG유플러스
다. 커넥티드 자전거, 삼성
라. 직토(ZIKTO)
마. 와이브레인(YBrain)
바. 비비비(BBB)
사. 힐세리온(Healcerion)
(2) 국외 기술동향
가. CES(Consumer Electronic Show ; Las Vegas, USA)
나. Great River Medical Center, 약물모니터링서비스
다. 바이탈리티사 글로우캡(GlowCap), 스마트약병 서비스
라. 무선 혈압 모니터, 실시간 혈압 관리 서비스
3) 스마트헬스케어 관련 주요기업 기술 및 플랫폼 개발동향
(1) 국내 
가. 삼성전자
나. SKT
다. LG
라. KT
마. POSCO
바. 텔릿
사. 유비케어
(2) 국외
가. 구글[X] 프로젝트, Google
나. 헬스키트와 애플와치, 애플
다. Smarter Planet, IBM
라. Smart + Connected Communities, Cisco
마. 마이크로소프트
바. 그 밖의 ICT기업
(3) 해외 헬스케어 SW기업 동향
가. 헬스케어 SW 산업과 해외 시장 동향
A) 헬스케어 SW 산업의 정의
B) HIS의 시장규모와 성장률
C) 2016년 헬스케어 인포매틱스(이하 HCI) 분야 매출액 기준 상위 10위 기업
D) HIS 주요 기업 소개
나. 국내의 HIS 산업 동향 
다. 시사점
4) 스마트헬스케어 서비스 적용사례
(1)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구현
(2) 스마트헬스 사례
가. RFID/USN 구현
나. 환자감시장치 구현
A) Philips Healthcare
B) GE Healthcare
C) Mindray Medical International Limited
다. 모바일 외래환자 심장측정
라. 국제병원의 환자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3) 보건복지 관련 사물인터넷 제품·서비스 현황 
가. 보건부문 사물인터넷 현황 
나. 복지부문 사물인터넷 현황
3. 적용 기술별 IoT 스마트헬스케어 표준화 동향
1) 표준화동향
(1) WBAN/WPAN/WLAN 표준 기술 동향
(2) ISO/IEEE 11073 PHD 표준 기술 동향
(3) HL7 CDA(Health Level Seven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표준 기술 동향
(4) Continua Health Alliance 표준 기술 동향
(5)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 cation in Medicine) 표준 기술 동향
(6)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 표준 기술 동향
2) 무선통신 전송기술
3) 생체신호 측정 센서기술
4) 사물인터넷기반 헬스케어 보안 기술 표준화 동향
(1) ASTM E31.20
(2) ISO/TC215 WG4
(3) HL7 SIG
5) 국내 헬스케어 표준화 동향 분석
4. 헬스케어 분야 IoT 특허기술 분석 
1) 분석 배경 및 목적
(1) 분석 배경 
(2) 분석 목적
2) 분석 범위
(1) 분석대상 특허 검색 DB 및 검색범위
가. 분석대상 특허 
(2) 분석대상 기술 및 검색식 도출 
가. 기술분류체계 
나. 기술분류기준
3) 특허기술 Landscape
(1) 주요출원국 연도별 특허동향
(2) 주요출원국 내·외국인 특허출원 현황
(3) 기술성장단계 파악
4) 주요 출원인 분석
(1) 주요 출원인 현황
(2) 주요국별 주요 출원인
5) 세부기술별 Landscape
(1) 세부기술 연도별 특허동향
가. 중분류 기술AA
나. 중분류 기술AB
다. 중분류 기술AC
라. 중분류 기술AD
(2) 세부기술별 주요 출원인
가. 의료용 IoT 센싱디바이스(AAA)의 주요 출원인
나. 일반용 IoT 센싱디바이스(AAB)의 주요 출원인
다. 데이터 보안(ABA)의 주요 출원인
라. 데이터 인증(ABB)의 주요 출원인
마. 데이터 저장(ACA)의 주요 출원인
바. 데이터 분석(ACB)의 주요 출원인
사. 데이터 활용(ACC)의 주요 출원인
아. 의료서비스 제공모델(ADA)의 주요 출원인
자. 개인웰니스서비스 제공모델(ADB)의 주요 출원인
차. 의료정보서비스 제공모델(ADC)의 주요 출원인
카. 의료/의약서비스 제공자 정보관리(ADD)의 주요 출원인
타. 의료/의약서비스 사용자 정보관리(ADE)의 주요 출원인
6) 심층분석 
5. 스마트헬스케어 분야 바이오센서 기술 및 시장동향
1) 헬스케어 바이오 센서의 미래
(1) 기술발전 트렌드
가. 광검파 바이오 센서(Optical Detection Biosensors)
나. 나노 바이오 센서 
다. 실리콘 포토닉스 바이오 센서(Silicon Photonics Biosensors)
(2) 기술 추진 요인
가. 바이오 센서의 다양한 응용 분야
나. 분자 수준 임상 정보의 이용 가능성
다. 기기 소형화로 생산비 절감
라. R&D 증가
(3) 기술과제 
가. 자본 집약적 연구개발
나. 이해 당사자들간의 기술적 협력 부족
다. 의료 규제 과제
(4) 이머징 애플리케이션(EMERGING APPLICATIONS)
가. 약물 전달
나. 질병 검출
A) 혈당 검사 및 측정
B) 암 진단
C) 심혈관계질환 검사(Cardiovascular Disease Detection)
D) 현장진단 기기(POC, Point-of-Care)
(5) 미래 응용(FUTURE APPLICATION)
가. 생체이식
2) 나노바이오센서 시장 및 기술 동향
(1) 기술의 개요
가. 기술의 특징
A) 나노바이오센서의 정의
B) 나노바이오센서의 특징
C) 나노바이오센서의 활용 분야
나. 나노바이오센서의 종류
다. 차세대 나노바이오센서의 요구조건
(2) 나노바이오 관련 정책 동향
가. 해외 정책 동향
나. 국내 정책 동향
A) 정부의 과학기술 관련 정책 
B) 현 정부의 나노바이오기술 정책
C) 정부 R&D 투자 동향
D) 정부 R&D 추진 전략
(3) 나노바이오센서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 기술개발 동향
A) 미국
B) EU
C) 일본
나. 기술개발 주요 이슈
다. 국내 기술개발 동향
A) 기술개발 현황
B) 선도 기관
라. 국내외 특허 현황
A) 나노바이오센서 특허 현황 
(4) 나노바이오센서 시장동향 
가. 산업화 현황
A) 나노바이오센서 산업
B) 나노바이오센서 해외산업화 현황
C) 나노바이오센서 국내산업화 현황
나. 시장 확대 전망 
A) 나노바이오센서 시장 확대 전망 
B) 나노바이오센서 시장 확대 저해 요인
(5) 나노바이오센서 발전 전망
가. 나노바이오센서 세계시장 발전 전망
나. 국내 기술과 시장 전략
제 3장 주요국 바이오헬스 현황과 ICT융합 의료산업 주요동향
1. 국내외 바이오헬스 주요현황
1) 바이오헬스 개념 및 범위
2) 국내외 바이오헬스 산업 동향
(1) 글로벌 바이오헬스 산업 현황
(2)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 현황
2. 국내외 ICT 융합 의료산업 주요동향
1) 개요
(1) 개념
(2) 특징
(3) 배경
2) 국내외 정책동향
(1) 해외 정책 동향
가. 스타트업 육성
나. 인프라 구축
다. 규제개선
라. 해외진출 지원 
(2) 국내 정책 동향
3) 주요국 ICT 융합 의료산업 추진전략 및 시사점
(1) 추진 배경과 목적
(2) 추진전략과 주요 수단
가. ICT 융합 신산업정책
나. 의료정보 활용 촉진
다. 의료정보 보호체제 개선
라. 인센티브를 통한 이해관계자 참여 확대 
(3) 시사점
3. 의료기기와 헬스-IT 기술 표준 및 ICT 기반 의료기기 주요동향
1) 의료기기와 헬스-IT 개요
2) 국내외 ICT 기반 의료기기 기술 동향
(1) ICT 기반 의료기기 기술
(2) ICT 기반 의료기기 기술 동향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동향
3) ICT 기반 의료기기 활용 사례
(1) 해외 활용 사례
(2) 국내 활용 사례
4) 기술개발 동향 
(1) ICT 기반 의료기기 핵심기술
5) 특허 현황
(1) 표준화 관련 항목 대상 특허 현황
(2) ICT 기반 의료기기 특허 출원 동향
6) 표준화 동향
(1) 의료기기 표준화의 목적 
(2) 의료기기의 표준 - 하드웨어
가. ISO 13485
나. IEC 60601
다. ISO 14971
라. IEC 80001-1 
(3) 의료기기의 표준 - 소프트웨어
가.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나.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표준
다. IEC 62304 Medical device software — Software life cycle processes
라. IEC 82304-1
(4) 상호운용성을 위한 표준
가. Integrating the Healthcare Enterprise (IHE)
나. Health Level 7 (HL7)
다. 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 (FHIR) 
라.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in Medical (DICOM)
(5) 의료기기 보안 표준화
가. ISO/IEC 27001
나. 국내 보안 표준
(6) Usability 
가. 의료기기 사용성 (Medical device Usability) 
나. IEC 62366 
 
제Ⅱ편 IoT 기반 헬스케어와 바이오헬스 동향분석
제 1장 스마트헬스 PHR/EHR/의료정보관리 플랫폼 주요동향
1. 스마트헬스서비스 5대기술 분야
1)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
2) 전자건강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
3) 모바일헬스(Mobile Health)
4) 바이오헬스(Bio Health)
5) 스마트헬스데이터(Smart Health Data)
2. 개인건강기록 주요동향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적용기술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 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경쟁환경
(3) 해외업체 동향
가. 애플
나. 삼성
다. 구글
라. 마이크로소프트
(4) 국내업체 동향
가. 헤셀 
나. 헬스맥스 
다. 누스코
라. 유비케어 
마. 라이프시맨틱스
바. 가천의대 길병원
사. 서울아산병원 
3) 시장환경 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3) 무역현황
4) 기술인프라 현황
(1) 서울아산병원 
(2) Blue button
(3) My Health manager
(4) Healthvault
5) 특허동향 분석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출원현황
(3) 주요 출원인 분석
(4) 국내 출원인 동향
6) 표준화 현황
3. 전자건강기록 주요동향
1) 정책동향 분석
(1) 해외
가. 미국
나. 영국
다. 유럽연합
라. 일본 
(2) 국내 
2) 시장동향 분석 
(1) 해외
가. 미국
나. 싱가포르
다. 독일 
라. 중국
(2) 국내
3) 특허동향
(1)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2) 출원인 및 국적별 특허출원 현황
(3) IPC별 출원현황
(4) 유망기술 도출
4) 표준동향 분석
(1) 해외
가. ISO/TC 215(Health Informatics, 보건의료정보) 
(2) 국내 
가. ISO 국제표준 국내 부합화(2종) 추진 중
나. ISO 국제표준 국내 부합화 KS(3종) 개정 작업 중
다. 5년도래 국가표준 (24종) 확인 
라. 한국산업표준 제정 고시
마. 한국산업표준 개정 고시
4. 의료정보관리 플랫폼 주요동향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 분석 
(1) 산업의 구조
(2)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 분석 
(1) 세계시장
가. 미국
나. 독일
다. 중국 
(2) 국내시장
4) 특허동향 분석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출원현황
(3) 주요출원인 분석
(4) 국내 출원인 동향
제 2장 모바일헬스/웨어러블기기 주요동향
1. 모바일헬스 산업 개요
1) 모바일헬스 정의 및 특징
2) 모바일헬스케어산업의 중요성
3) 모바일헬스케어산업의 발전 단계
2. 국내외 모바일 헬스케어 주요동향
1) 정책동향 및 사업현황
(1) 미국
(2) 유럽
(3) 아시아
(4) 한국 
가. 표준기반 R&D로드맵
나. 우리나라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 현황
다. 공공형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 추진 현황
A) 4종의 디바이스가 연동되는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 플랫폼 개발
B)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 제공결과
C)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의 건강위험요인 개선효과
D) 대면 사업과 모바일 사업 간 건강증진개선 효과 비교
2) 시장현황 및 전망
(1) 글로벌 현황
(2) 지역별 현황 및 전망
가. 북아메리카 지역
나. 유럽 지역
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3) 해외시장동향
(4) 국내시장동향 
(5) 주요 플레이어
가. 이동통신 사업자(Mobile Health Operators)
A) AIRCEL, IDEA AND TATA INDICOM
B) AT&T
C) BHARTI AIRTEL
D) CHINA MOBILE LIMITED
E) ORANGE
F) QUALCOMM
G) TELEFONICA
H) T-MOBILE
I) VERIZON COMMUNICATIONS
J) Vodafone
나. 기기 및 소프트웨어 개발사(mHealth Device and Software Developers)
A) EPOCRATES
B) WELLDOC
다. 의료기기 개발사(mHealth Medical Device Developers)
A) AGAMATRIX
B) GLOOKO
라. 헬스케어 제공자(Healthcare providers) 
A) KAISER PERMANENTE
B) WALGREENS
3) 주요기술 및 표준화 항목
(1) 주요기술 도출
(2) 핵심 주력제품 및 서비스 도출
가. 환자관리 강화중심 모바일헬스 주요 서비스 
나. 의료사업 강화중심 모바일헬스 주요 서비스
다. 표준화 항목
(3) 헬스케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동향 
가. FDA에서 최초로 승인받은 ‘제 2형 당뇨병 모바일 처방 서비스’
나. 녹내장 환자 약물 순응도 개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다. 환자의 안정성과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라. 우울증 해소를 위한 행복 트래킹 앱
마. 산전관리를 위한 모바일 솔루션
바. 비용문제로 인한 약물 순응도 저하를 향상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사. 약물 복용 순응도 향상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아. 약물 복용 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기 부여 애플리케이션
(4) 표준 동향
가. 국제표준 동향 
나. 국내표준 동향 
4)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의 모바일 헬스케어 기술 특허동향
(1) 분석 배경 및 목적
(2) 대상기술의 특허동향분석
가. 기술시장 성장단계 파악
나. 주요시장국 기술개발 활동 패턴
다. 주요시장국 기술의존도 분석
라. R&D 주도 그룹
(3) 심층 분석
가. 세부기술별 주요시장국 연구개발 활동 패턴 분석
나. 세부기술별 연구개발 활동 패턴 분석
다. 주요 출원인의 핵심기술개발 영역 분석
5) 모바일헬스 기술연관 및 R&D 발전전략
(1) 주요 기술 및 서비스 전략
가. 연구과제 영역 
나. 모바일 헬스 2016 10대 주요기술과 상호연관관계 
다. 표준기반 R&D 발전 전략
(2) 표준화 및 서비스 연계전략
가. R&D-표준화 연계 전략 
나. 표준화-서비스 연계 전략
다. 산업응용 다변화전략
3.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 주요동향 
1) 개요 및 정의 
2) 기술의 구성 및 관련 이슈
(1) 핵심기술의 구성
가. 사용자 친화적 헬스케어 웨어러블 기기의 필요조건
(2) 헬스케어 웨어러블 기기의 기술 구성
가. 센서
나. 송수신부(통신)
다. 전원부(배터리/전력)
라. 인터페이스
마. 운영체제
3) 웨어러블 디바이스 유형별 개발동향 및 사례
(1) 주요제품의 분류
가. 유형에 따른 분류
나. 이용 목적에 따른 분류
(2) 액세서리 유형
(3) 의류 유형
(4) 신체부착 유형
4) 웨어러블 헬스케어용 화학공정소재 기술 산업동향
(1) 웨어러블 헬스케어 소자 기능 및 활용분야 
가. 피트니스/건강(Wellness) 분야용 소자
나. 헬스케어/의료 분야용 소자
다. 유헬스케어(Ubiquitous Healthcare)
(2) 웨어러블 헬스케어용 화학공정소재 기술 동향
가. 웨어러블 헬스케어 요소기술
나. 웨어러블 헬스케어 화학공정소재 기술
다. 화학공정소재 기반 입력 기술 (센서 기술) 1
A) 저항변화(Resistive) 방식 센서 소재 
B) 커패시턴스(Capacitive) 기반 센서 소재 
C) 압전(Piezoelectric) 기반 센서 소재 
D) 마찰전기 센서 소재
E) 초전 기반 센서 소재
라. 화학공정소재 기반 출력 기술
A) 유연 소재 기반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동향 
마. 웨어러블 디바이스 집적화/패키징 소재 기술
A) 유연 소재 기반 집적화 기술 동향
B) 신축성 전극 기술 동향 
바. 화학공정소재 기반 전원 기술 
A) 웨어러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동향
B) 웨어러블 배터리 소재 기술 동향
(3) 화학공정 소재 기반 웨어러블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현황
5) IoT 웨어러블 디바이스 플랫폼 기술 동향
(1)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킷 기술개발 필요성
가. SoC 기업현황
나. 제품개발 기업현황
(2)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킷 정의 및 특성 
(3)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킷 적용 제품군 
(4)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킷 기술 동향
가. 고사양 웨어러블 제품 지원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킷
A) Linux (Android Wear, Tizen)
B) WatchOS 
C) Android Wear, Tizen, WatchOS 개발환경
D) Pebble 개발환경
나. 저사양 웨어러블 제품 지원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킷
A) ARM mbed
B) STMicroelectronics사의 Wearable Sensor Unit 및 STM32CubeMX 
C) Cypress사의 PSOC(Programmable SoC)
D) 삼성전자의 ARTIK 플랫폼 
다. 경량 운영체제 및 개발환경 기술 
A) FreeRTOS
B) mbed OS 
C) MicroC/OS-II 
D) Nucleus RTOS 
E) RIOT 
F) NanoQplus
G) FreeRTOS, MicroC/OS-II, Nucleus RTOS, NanoQplus 개발환경
H) mbed OS 개발환경
라. 오픈소스 개발 플랫폼을 이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A) 아듀이노(Arduino) 및 릴리패드(LilyPad) 
B) 라즈베리 파이
(5) 웨어러블 제품 및 시스템 반도체 시장 동향
가. 웨어러블 시장은 연평균 24.4%으로 성장 예측 (IDC, 2016) 
나. SoC 분야에서 웨어러블 시장이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 
6) 웨어러블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동향 및 전망
(1) 헬스케어 웨어러블 기기 시장의 특징
가. Mass Market vs. Long Tail Market
나. 니치마켓(Niche Market)으로서 헬스케어 웨어러블 기기 시장
다. 헬스케어 웨어러블 기기의 성공 요건
(2) 웨어러블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 동향과 전망
(3) 시사점 및 과제
제 3장 웰니스(Wellness) 케어 및 바이오헬스관련 로봇 주요동향
1. 웰니스케어 산업 주요동향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웰니스 셀프케어 서비스 산업
나. 웰니스 리빙케어 산업 
다. 웰니스 엔터테인먼트 산업
2) 국내외 웰니스케어 정책동향
(1) 국내
가. 미래 성장동력으로서의 웰니스케어
나. 웰니스케어 서비스 구현 사업
다. 법․제도 개선 과제
A) 의료기기와 개인용 건강관리(웰니스) 제품 판단기준
B) 기타 제도 개선 과제
(2) 해외 정책방향
가. 미국
나. EU 
다. 호주
라. 일본
마. 중국
3) 웰니스케어 산업 및 시장동향
(1) 산업특징 및 구조
(2) 시장현황 및 전망
4) 웰니스 제품 개발동향
(1) 만성질환자를 위한 웰니스케어
가. 혈압 측정기
A) 병원에서 사용이 되는 커프 방식의 팔뚝형 자동 혈압 측정기
B) 휴대할 수 있고 혼자서도 측정이 가능한 커프 방식의 팔뚝형 혈압계
C) 휴대 및 사용이 더욱 편리한 커프 방식의 손목형 혈압계
D) 압박의 불편함이 없는 PPG/ECG 방식의 손목형 혈압계
E) 손가락 접촉만으로 측정이 가능한 심박 파형 분석 방식의 손가락형 혈압계
나. 혈당 측정기
(2) 고령층을 위한 웰니스케어
가. 낙상감지 및 응급호출기
나. 노인의 신체 및 오감 능력 보완
다. 치매 환자의 증상 완화 및 보호
라. 복약 알림 및 복약 여부 감지
A) 약 먹는 것을 잊지 않게 알려주는 스마트 약통
B) 복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약 자체에 센서를 내장한 알약
C) 당뇨병 환자를 위한 복약 알림 서비스
마. 원격 관리 서비스
A) 의사가 집이나 사무실로 방문해주는 왕진 서비스 “페이저”
B) 센슬리의 가상 간호사 “몰리”
C) 라이블리
D) 독거 노인의 모니터링 서비스 “온콜”
(3) 일반인을 위한 웰니스케어
가. 활동량계
나. 심박계
다. 심전도 측정기
A) AliveCor
B) 가슴에 부착하는 심전도 측정기
라. 운동 효과를 파악할 수 있는 체지방 및 근육량 측정기
A) 밴드형 체지방계
B) 근육 운동을 할 때 얼마나 운동효과가 있는지를 바로 알 수 있는 근육량 측정기
마. 수면센서
바. 체온계
A) 스마트폰 악세서리 형태의 비접촉식 체온계
B) 스마트폰 무선 연동 체온계
C) 손목형 피부 온도계
사. 디지털 청진기
아. 피부관리
자. 스포츠 운동기기
A) 운동의 움직임 감지를 통한 운동 자세 및 횟수 측정
B)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요가 자세를 코칭해주는 스마트 매트
차. 스트레스 및 심호흡 측정기
A) 스트레스를 측정해주는 스마트 워치
B) 깊은 호흡을 하도록 유도하여 스트레스를 해소하도록 도와주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카. 식습관 및 칫솔 습관 측정기
타. 자세 측정 및 교정
A) 일상에서의 자세 측정 및 교정
B) 게임을 통해 수행하는 재활 치료
파. 헬스케어 플랫폼
A) 애플 
B) 구글
C) 세븐일렉, 사물인터넷(IoT)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
하. 건강 키오스크
5) 웰니스케어 특허동향
(1) 기술동향 분석
가. 세계동향
나. 국내동향
6) 웰니스케어 표준화동향 
(1) 해외 표준동향 분석
(2) 국내 표준동향 분석
2. 바이오헬스 로봇 관련 주요동향 분석
1) 정책동향
(1) 수술로봇 
가. 국내
(2) 재활로봇 
가. 국외
나. 국내
(3) 마이크로로봇 
가. 국외
나. 국내
2) 시장동향 및 전망
(1) 세계시장
가. 수술로봇
나. 재활로봇
다. 마이크로로봇 
(2) 국내시장
가. 재활로봇
나. 마이크로로봇
3) 기술 및 특허동향
(1) 수술로봇
가. 기술동향 
나. 특허동향
A) 슬레이브 로봇
B) 앤드 이팩터
C) 내비게이션 시스템
(2) 재활로봇
가. 기술개발 트렌드 
나. 해외업체 동향
A) 해외 재활로봇 기업 현황
B) 재활 훈련 로봇
다. 국내업체 동향 
A) 현대중공업
B) 피앤에스미캐닉스의 Walkbot
C) 네오펙트의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
D) 이에스브이
E) 엑소시스템즈
F) 로봇 헬스케어 플랫폼 국내 특허출원
라. 특허동향 
A) 연도별 출원동향
B) 국가별 출원현황
C) 주요출원인 분석
D) 국내 출원인 동향
(3) 마이크로로봇
4) 표준화동향
(1) 수술로봇
가. 해외 표준동향
나. 국내 표준동향 
(2) 재활로봇
가. 해외 표준동향 
나. 국내 표준동향 
(3) 마이크로로봇
가. 해외 표준동향 
나. 국내 표준동향 
제 4장 스마트헬스 빅데이터 주요동향과 활용사례
1. 스마트헬스데이터 정의 및 구분 
1) 정의 
2) 헬스케어 데이터 구분
(1) 의료기관 중심의 전자의무기록(EMR)
(2) 공공기관 중심의 국민건강정보
(3) 개인 중심의 개인건강정보(PHR, Personal Health Record)
(4) 기관에서 개인중심으로 이동하는 개인유전정보
2. 주요국 데이터 기반 헬스케어 주요정책
1) 미국
(1) 헬스케어 혁신을 위한 데이터 주요정책 
가. HITECH 법과 Meaningful Use 
나. 정밀의료계획(Precision Medicine Initiative)
다. Blue Button
2) 영국
(1) 보건의료정보화 관련 정책
가. NHS 
나. Care.data 프로그램
3) 한국
(1) 헬스케어 혁신을 위한 데이터 주요정책
가. 유전체 분석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나. 헬스케어 데이터의 통합과 정밀의료 구현
(2) 국내 헬스케어 기술 수준 
가. 의료기관 중심의 보건의료 정보화 기술
나. 개인건강정보 생성 관련 기술
다. 유전정보 분석 관련 기술
4) 일본
3. 스마트헬스 빅데이터 활용방안 및 사례
1) 헬스케어 데이터 생성, 통합, 분석, 활용 사례
(1) 1종류 내의 데이터 통합 : 플랫폼을 이용한 PHR 간의 통합
(2) 2종류 내의 데이터 통합
가. 의료기관/EMR 시스템과 민간 플랫폼 연계 : EMR+PHR
나. EMR 시스템과 헬스케어 기기 연계 : EMR+PHR
다. EMR 시스템과 의료서비스 연계 : EMR+PHR
라. 다국적 의료정보와 국민건강정보 통합 : EMR+PHD
2) 주요국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방안
(1)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외국의 경험과 가치 창출 기전의 이해
가. 영국과 미국의 국가적 접근과 시사점
나.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의 가치 창출 기전과 사업 분류
(2) 일본의 의료분야 빅 데이터 활용 방안
가. 의료분야에서 빅 데이터 활용의 필요성 
나. 의료 빅 데이터 수집 및 활용 현황
다. 빅 데이터 기반 영상처리기술을 활용한 의료 진단 및 분석 
(3) 우리나라 보건의료 데이터 현황과 활용의 한계
가. 보건의료 빅데이터 구축과 활용 촉진을 위한 국가적 거버넌스 구축 
A) 법, 제도 체계의 통합적 정비
B) 공익적 목적의 보건의료 데이터 연계를 위한 심의 구조와 운영 체계 마련
C) 국가 보건의료 데이터 공유 플랫폼 구축
나. 품질 향상 측면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전략 수립 
다.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전략적 접근: 빅데이터 기반 비교효과성 연구의 확산 
3) 의료 데이터 산업의 주요 사례 소개
(1) 메디데이터
(2) 익스프레스 스크립츠
(3) 인터마운틴 헬스케어
(4) 캠든 의료 공급자 연합 
(5) 파트너스 헬스케어
(6) 필라델피아 아동 병원
4. 스마트헬스 빅데이터 시장동향
1) 해외 시장동향 분석
2) 국내 시장동향 분석
3) 국내 중소기업 환경 
(1) 중소기업 경쟁력
(2) 중소기업 기술수요
5. 스마트헬스 빅데이터 관련 특허동향 
1)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2) 출원인 및 국적별 특허출원 현황
3) IPC별 출원현황
4) 유망기술 도출 
6. 스마트헬스데이터 관련 표준동향 
1) 해외 표준동향 분석
2) 국내 표준동향 분석
7. 헬스케어 애널리틱스 주요동향 분석
1) 헬스케어 애널리틱스의 부상
2) 발전방향과 기대효과
(1) 성장과정과 발전방향
(2) 기대효과
3) 산업적 특성
(1) 데이터 중심의 산업구조
(2) 양질의 데이터 확보가 성공요인
(3) 기존기업 vs. SW기업 경쟁 심화
(4) 클라우드 방식이 빠르게 성장
4) 국내 현황 분석
5) 시사점
8. 헬스케어와 빅데이터의 결합「정밀의료」주요동향 
1) 4차 산업혁명이 헬스케어산업에 미치는 영향
2) 정밀의료 개요
(1) 정밀의료의 개념
(2) 정밀의료의 분야
3) 정밀의료 관련 연구 동향
(1) 해외
가. 약물유전체 맞춤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나. 보건 정보 기술(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HIT)과 정밀의료의 결합
다. 의료 기관에서의 약물유전체 기반 맞춤치료 임상 적용
라.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활용한 헬스케어
(2) 국내
4) 관련 분야 기술동향 및 국내 역량
(1) 관련 분야 기술동향
가. 유전체 염기서열 해독기술
나. 유전자 편집 기술
다. 빅데이터 기술
라. 생활기록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마. 표적항암치료제
(2) 국내 정밀의료 관련 역량
(3) 특허 분석에 따른 기술수준평가 결과
5) 정밀의료 관련 산업동향
(1) 해외
(2) 국내 
6) 주요국의 정밀의료 추진현황
제 5장 인공지능 헬스케어 개발현황과 시장동향
1. 인공지능 기술의 등장과 기대
1) AI 기술의 잠재가치 부상
2) AI 기술의 산업규모와 위상 
2. 보건의료와 인공지능 기술의 만남
1) 인공지능 기술과 헬스케어
2) 미충족 의료수요 (Unmet Medical Needs)
(1) 진단‧치료의 어려움 : 의료데이터의 복잡성 증가
(2) 오진율 증가 
(3) 의료서비스의 질, 의료비용 불만 가중 : 국민의 삶의 질 요구 증대 
3) 보건의료와 AI 접목의 가치
(1) 기술적 가치
가. 딥러닝(Deep Learning) 배경
나. 딥러닝(Deep Learning) 개념 
다. 딥러닝(Deep Learning) 특징
라. 딥러닝(Deep Learning) 장점
마. 딥러닝(Deep Learning) 원동력
(2) 경제적 가치
(3) 사회적 가치
4) 보건의료 AI 실현의 가능성
(1) ICT 인프라
(2) 의료장비 보유수준 
(3) 풍부한 의료 데이터
(4) 세계적 수준의 AI 영상인식 기술력
3. 인공지능 헬스케어 주요기업 및 스타트업 R&D 현황
1) 인공지능 헬스케어 분야 주요 기업
(1) IBM - Watson
가. 인공지능, 왓슨 기술의 발전 현황
A) 인공지능 핵심기술
B) 인지 컴퓨팅과 왓슨
C) 인공신경망에 기반한 딥 러닝
나. 인공지능, 왓슨의 보건의료 비즈니스
A) 헬스 솔루션의 파트너십 모델
B) 왓슨 온콜로지 솔루션
C) 왓슨 온콜로지 디자인 분석
(2) 구글
(3) 마이크로소프트
(4) 애플
(5) 존슨앤존슨
(6) 페이스북
(7) 아마존 
2) 인공지능(AI) 분야 헬스케어 스타트업
(1) 헬스케어 분야 인공지능 스타트업 진출분야 
가. Imaging & Diagnostics
나. Lifestyle management & Monitoring
다. Drug discovery
라. Emergency room & hospital management
마. Wearables
바. Virtual Assistants
사. Mental Health
아. Research
자. Nutrition
(2) 해외 연구동향 및 헬스케어 스타트업
가. Medtronics
나. 소프트뱅크
다. 캐나다 토론토대 연구팀
라. iCarbonX
마. Gauss Surgica 
바. Enlitic - 건강관리 플랫폼 
사. Benevolent.ai
아. Patientslikeme
(3) 국내 연구동향 및 헬스케어 스타트업
3) 모바일 인공지능 진단기술 최신 동향
(1) 정의 
(2) 적용 분야
(3) 국내외 동향
가. 국외 동향
나. 국내동향
(4) 시장 전망
(5) 시사점
(6) 활성화 방안
4. 의료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사례 
1) 특허분석을 통해 본 활용사례
(1) 질병 진단 인공지능 보조 의사 시스템 
(2) 인공지능 기반 개인 맞춤형 의료 시스템
(3) 인공지능 기반 진단치료·재활치료 시스템
(4)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 개발 시스템
(5) 신약 임상시험용 환자 모델링 시스템
(6) 빅데이터 기반 개인 건강관리 서비스
(7) 특허 종합 분석 
2) 언론보도를 통해 본 활용사례
5. 인공지능 헬스케어 시장동향 및 예측
통계(도표) 목차
 

 

※ 도서상품(보고서 및 세미나북)은 비과세상품(면세대상)으로 공급가액만 결제됩니다.
※ 현금 결제시 세금계산서가 아닌 계산서가 발행됩니다.



배송정보
- 배송지역: 전국
- 배송비: 무료입니다.(도서,산간,오지 일부지역 등은 배송비가 추가될 수있습니다.)
- 본 상품의 평균 배송일은 2일입니다.(입금 확인 후)
(평균배송일이란? 동일 상품을 주문한 고객이 실제 인수한 배송일의 평균을 말합니다.)
* PDF파일 주문 시 자료는 등록하신 이메일로 발송해 드립니다.
  +고객명(소속/기관명)으로 주문하시기 바랍니다.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수기 결제 서비스
온라인 신용카드(법인, 연구비 카드 등) 결제가 안 되실 경우 고객센터(070-7169-5396)로 전화 주시면 '수기 결제 서비스'를 안내 해드립니다.  수기 결제 서비스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수기 결제 서비스' 요청

② ‘최소한의 신용카드정보’를 전달 받아 결제 진행

③ 결제완료 
 


ARS 결제 서비스
온라인 신용카드(법인, 연구비 카드 등) 결제가 안 되실 경우 고객센터(070-7169-5396)로 전화 주시면 'ARS 결제 서비스'를 안내 해드립니다. ARS 결제 서비스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ARS 결제 서비스' 요청

② 고객님 휴대폰으로 'ARS 결제' 문자 발송

③ ARS 전화 연결

④ 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MM/YY), 법인카드는 사업자번호 / 개인카드(법인기명카드)는 생년월일, 비밀번호(앞두자리) 입력

⑤ 결제완료

 

카드결제 오류 해결방법
대부분 카드결제 오류 발생시 KCP기술지원팀(1544-8661)으로 연락 주시면 '결제오류'에 대한 보다 신속하고 상세한 안내(원격지원)를 받으실 수있습니다.



계산서
-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 계산서가 필요하신 분은 이메일(contact@techforum.co.kr) 또는 주문시 '요구사항'란에 메모를 남겨주세요.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contact@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요청하신 계산서는 등록하신 메일로 발송됩니다.


거래명세서
- 거래명세서가 필요하신 분은 이메일(contact@techforum.co.kr) 또는 주문시 '요구사항'란에 메모를 남겨주세요.
- 요청하신 거래명세서는 등록하신 메일로 발송됩니다.


견적서
- 견적서가 필요하신 분은 도서 목록을 이메일(contact@techforum.co.kr) 또는 주문시 '요구사항'란에 메모를 남겨주세요.
- 요청하신 견적서는 등록하신 메일로 발송됩니다.


교환/반품
- 주문하신 도서가 품절 및 절판등의 사유로 발송할 수 없을시 에는 대금을 환불해 드립니다.
- 도서의 파손이나 불량으로 인한 교환을 요청하실 경우에는 재발송하여 드립니다. (택배비 무료)
- 고객의 부주의로 인한 도서의 파손은 환불처리가 불가하오니 양해바랍니다.
* PDF파일 주문 건은 '디지털상품' 특성 상 전송 후 환불처리가 불가하오니 신중히 검토 후 주문 부탁 드립니다.

상품 리뷰
No 제목 작성자 날짜 평점
상품 문의
No 제목 작성자 날짜 상태